1352 |
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과학수사 교육 개선방안 연구-정교래, 장세경(2018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1 |
1351 |
가상현실 모의범죄는 실제 모의범죄를 대체할 수 있는가? 사건관련전위 연구-송인욱, 김혜민, 이경은, 장은희, 김현택(2019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4 |
1350 |
가상현실 기반 범죄 프로파일링 시뮬레이션 교육 및 평가 시스템-김한섭,김해지,이윤식,이지은(2018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1 |
1349 |
조현병 대상자에 대한 경찰관의 초기 대응 가상현실(VR-HMD) 면담교육 매뉴얼 시스템 개발의 함의 묻지마범죄 예방과 억제 중심으로-류창현,장석현(2020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2 |
1348 |
지적장애인 성폭력 사건 특성과 법원의 판단 - 이미선(2020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2 |
1347 |
현실모니터링 준거에 대한 타당성 연구- Sporer의 준거를 중심으로 - 정선희, 강기영, 김시업(2007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1 |
1346 |
현실모니터링 기법에 의한 진술의 진실여부 판단- 정선희(2006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1 |
1345 |
성범죄 피해아동의 진술의 신빙성 판단 기준- 독일법원판결을 중심으로 - 박상기(2016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2 |
1344 |
맥락회복기법이 진술의 진실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: 현실 모니터링을 중심으로- 김미영, 전우병, 김시업(2016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1 |
1343 |
효과적인 피의자 신문 기법 탐색을 위한 연구- PEACE-model과 Reid technique의 효과성검토 및 검증을 중심으로- 홍유진(2017)
|
한국심리과학센터 |
2021.01.27 |
1 |